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극상근 [Supraspinatus] 정리

by jbook 2021. 10. 4.

안녕하세요! 닥터부입니다~

오늘은 ' 극상근 [Supraspinatus] '에 대해 알아보고 정리하겠습니다!


극상근

[Supraspinatus]

정의

가시위근 혹은 극상근(棘上筋, supraspinatus muscle)은 가시위오목(어깨뼈(견갑골) 위쪽부분)에서 시작하여 위팔뼈의 대결절까지 이어지는, 등 위쪽의 작은 근육이다.

구조

가시위근은 어깨뼈(견갑골)의 어깨뼈가시 위의 얕은 파인 부분인 가시위오목에서 시작한다. 가시위근의 힘줄은 견봉의 덮개 아래쪽을 가로질러 지나간다. 가시위근의 힘줄은 결국 위팔뼈의 대결절 위쪽 파인부분에 삽입된다.

위팔뼈의 대결절에 삽입되는 세 개의 회전근을 위에서부터 아래로 본다면, 그 순서는 가시위근, 가시아래근, 작은원근 순서일 것이고, 만약 소결절에 삽입되는 회전근인 견갑하근을 포함한다면 그 순서는 가시위근, 가시아래근, 작은원근 견갑하근 순서일 것이다.

원인/시작점(Origin)

:견갑골의 극상와(Supraspinous fossa of scapula)

삽입/부착점(Insertion)

:상완골의 대결절(Greater tubercle of the humerus)

신경자극(nerve stimulation)

:견갑신경 C4-C6

기능

극상근/가시위근은 어깨세모근과 함께 팔을 외전(abduction)을 담당합니다.

팔을 밖으로 외전할때 15도 이하의 좁은 범위에서는 가시위근이 주동근으로 작용해, 15도 이상일 때는 어깨세모근이 이 동작의 주동근이 된다.

또한 가시위근은 돌림근띠의 구성 근육으로써, 위팔뼈의 머리를 안쪽의 관절와 쪽으로 당겨 돌림근띠를 안정시킨다. 돌림근띠 근육중에서는 이 근육이 단독으로 작용함으로써 위팔뼈의 머리가 아래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방사통

 

 

 

검사방법 및 치료

 

 

참고자료

1) 임상도수치료 200

2)https://ko.wikipedia.org/wiki/%EA%B0%80%EC%8B%9C%EC%9C%84%EA%B7%BC

오늘은 여기까지 정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